본문 바로가기

국악공연정보/서울

(698)
굿과 극을 뒤집은 진짜같은 가짜굿 - 허창열씨 오구굿 공연 --> 공연정보 자세히 보기 창단 5주년을 맞은 연희집단 The 광대가 국립국악원의 젊은 국악인 지원사업인 공감! 청년국악에 선정되어 2011년 12월 21일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The 광대들만의 색다른 굿판을 벌인다. 전통연희의 현대적인 창작을 지향하는 연희집단 The 광대는 버나놀이를 중심으로 한 광대놀음극 아비 찾아 뱅뱅 돌아, 탈춤을 중심연희로 한 거리광대극 홀림낚시에 이어 전통연희의 요소 중 그 한가지를 집중 탐구하여 작품을 창작하는 전통연희 프리즘프로젝트 제3탄으로 굿을 주제로 한 작품이라 하겠다. 굿은 그 형식은 제의이지만 춤, 소리, 장단, 극 등이 가득한 예술의 원천으로써 전통예술의 근간이 되고 있다. The 광대는 춤, 재담, 음악, 소리가 모두 가능한 유일한 전통연희 단체로서 전통적..
#국악 거문고 명인의 동화(冬花), 바람에 절로 우는 소리 --> 공연정보 자세히 보기 거문고 명인 3인이 들려주는 국악소리 서울시청소년국악관현악단과 거문고의 명인들이 함께한 국악 [동화, 바람에 절로 우는 소리](지휘 김성진)가 오는 12월 21일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공연된다. 이번 무대에서는 총 5곡을 선보인다. 서울아리랑을 비롯해 거문고 협주곡 ‘청천’,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주제에 의한 협주곡, 거문고 협주곡 ‘무영탑’, 고구려의 여운 등이 연주된다. 이 중 서울아리랑, ‘청천’, ‘무영탑’은 지휘자와 연주자가 직접 작곡한 곡이다. 거문고 연주는 KBS국악관현악단의 수석 및 악장이자 작곡가인 명인 정대석, 국립국악원 정악단 전악집박 이세환, 중요무형문화재 제16호 거문고산조 전수교육조교인 이재화가 맡는다. 한편, 공연제목 '동화, 바람에 절로 우는 소..
12월18일 '강지은의 세번째 해금이야기' 서울공연 #국악 --> 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 홈페이지 강지은의 세 번째 해금이야기 '바람은 고개를 넘고-영남(嶺南) 소리 기행(紀行)'이 오는 12월 18일 오후 5시 강남구 삼성동 소재 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 민속극장 풍류에서 열린다. 해금연주자 강지은(28·사진)은 국립국악학교와 국립국악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와 같은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현재 국립부산국악원 국악사로 재직 중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전수자이자 해금 연구회 회원이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차세대 예술인(Arko Young Artist Frontier, 2011-2012)으로 선정됐다. 이번 공연은 영남 문경새재 고개 남쪽 지역의 삶이 담겨있는 음악들을 엮어 구성했고 박대성류 해금산조, 밀양·진주·통영의 민요, 남해안 별신굿을 위..
국립국악원,12월 10일~18일 '왕조의 꿈, 태평서곡' 공연 #국악 --> 공연정보 자세히 보기 국립국악원이 송년 대표브랜드 궁중연례악 '왕조의 꿈, 태평서곡'을 12월 10일부터 18일까지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서 8차례 선보인다. '왕조의 꿈, 태평서곡'은 정조가 왕위에 오른 뒤 45세 되던 해에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60번째 생신을 맞아 벌인 궁중연회를 재현한다. 혜경궁 홍씨는 사회 각계 인사들이 연기한다.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전재희 위원장, 김을동 국회의원, 노미자 전통매듭연구가, 국악애호가 육명희 크라운베이커리 대표 등이 매회 교체 출연한다. 무대 위에서는 수제천·낙양춘·보허자 등 궁중 기악곡과 성악곡 그리고 헌선도, 학연화대무, 선유락 등 궁중무용이 펼쳐진다. 궁중복식, 궁중찬안(음식) 등 볼거리도 다양하다. 아울러 공연장 로비에서는 닥종이 인형 100여개..
명품 조연이 주인공 됐다~서정금, 모노 판소리 '정금씨&호박씨' 14일 공연 #국악 --> 공연정보 자세히 보기 토끼, 뺑덕어멈, 줄리엣의 유모, 향단이…. 국립창극단원 서정금 씨(35)는 조연만 맡아왔다. 외모 때문이었다. 주인공만 기억하는 서러운 세상이지만 그는 고군분투했다. 구수한 소리와 개성 있는 연기로 명품 조연 반열에 올랐다. 덕분에 주인공은 바뀌어도 그는 항상 무대를 지킬 수 있었다. 공연 횟수가 거듭될수록 그의 존재는 더 선명해졌다. 관객들은 어느샌가 그에게 빠져들었다. 최근 판소리 오페라 `수궁가`에서 토끼는 잊지 못할 명연이었다. 이제 완전히 떴다. 그리고 기적이 일어났다. 그가 무대의 온전한 주인이 된다. 14일 오후 3시, 7시 30분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모노 판소리 `정금씨&호박씨`를 공연한다. 국립극장 예술단원 중에 스타성을 갖춘 배우를 발굴하는 기획시리즈 ..
'실로암 관현맹인 전통음악예술단' 창단 연주회, 14일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 공연정보 자세히 보기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관장 최동익)은 14일 오후 7시30분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실로암관현맹인전통음악예술단’ 창단 연주회를 갖는다. ‘관현맹인(管絃盲人)’이란 조선시대 궁중에서 악기를 연주했던 시각장애인 악사를 가리키는 용어.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관은 지난 3월 관현맹인제도를 현대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지난 3월 창단했다. 이날 창단공연은 문종석 이현아 이민정 이진용 정철씨 등 시각장애인들의 연주와 노래가 이어진다. 한양대 국악과 조주선 교수와 추계예대 국악과 강호중 교수도 출연한다. (02)880-0865 --> 조선일보 기사원문보기
가야금 명인 김죽파 탄생 100주년 기념공연 (12월 11일 국립국악원 우면당) --> 공연정보 자세히 보기 가야금 명인 죽파 김난초(1911-1989) 선생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공연이 12월 11일 오후 7시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열린다. 24일 김죽파 가야금 산조 및 병창 보존회에 따르면, 이 공연은 '인간문화재 김죽파 탄생 100주년 기념 공연-죽파 직계 제자, 풍류·병창·산조 전바탕 연주'라는 제목으로 진행된다. 가야금 산조는 가야금 명인 김창조(1856-1919) 선생이 1890년경 만들었으며, 제자이자 손녀인 김죽파가 이를 계승했다. 이후 양승희와 문재숙이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 산조 및 병창 보유자로 지정되며 그 맥을 잇고 있다. 이번 공연에는 김죽파제 민간 풍류와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 전바탕 등이 연주된다. 문재숙과 양승희, 이재숙 한양대 석좌교수 등이..
#국악 홍주희 교수 12일 '하모나이즈드' 가야금 독주회 --> 공연정보 자세히보기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해 온 홍주희 교수(수원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사진)가 12월 12일 오후 7시 30분 서울 세종로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에서 ‘하모나이즈드(Harmonized)’라는 타이틀로 가야금 독주회를 개최한다. 이번 독주회는 “다른 세계의 음악도 듣고 알아야 진정한 국제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홍 교수의 소신을 느끼게 한다. 이날 연주하는 총 6곡의 작품 중 세 곡이 초연작이다. 두 곡은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가곡을 편곡했다. 홍 교수가 가장 많은 연습시간을 들인 ‘줄타기(권지원 작곡)’는 제자들과의 협연곡이다. 마치 타악기처럼 울리는 가야금의 새로운 면을 보여줄 계획이다. 문의 02) 2265-9235 동아일보 양형모 기자 --> 기사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