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관련뉴스/국악한류, 퓨전국악

'전통문화 한류' 로드맵 만든다




지원 법률안 발의···정책토록회서 의견 수렴

K-pop 등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한 '한류 열풍'을 전통문화로까지 확산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 역시 전통문화의 세계화에 대한 의지가 크다. 하지만 정작 국내에서조차 전통문화는 아직 제대로 된 산업이라고 말하기도 부족한 수준이다.

이에 전통문화 발전을 위해 전통문화를 독립된 산업으로 만들기 위한 법체계 수립,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로 이를 위해 법안을 발의한 국회의원도 있다.

한나라당 김광림 의원 등은 지난달 21일 '전통문화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안'을 발의했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장관에 의해 시행돼야 하는 사항으로 △중·장기 기본계획 3년마다 수립 △실태조사 △전통문화산업 표준화 권고 △전통문화촌 지정 및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 15가지의 주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전통문화를 산업화해서 체계적인 실태 조사와 파악, 산업 표준화, 인력 양성, 정부차원에서 지원 확대 등이 골자다.

또 지난 9일 국회에서 열린 '전통문화, 산업화의 길을 열다'라는 정책토론회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의견들이 오갔다.

 

이날 한복려 궁중음식연구원 이사장은 '한류 속의 전통문화'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드라마 '대장금'은 역사적 사실에만 국한되지 않고 외식, 출판, 영상, 게임, 애니메이션, 음악,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끼치며 산업적 효과를 거뒀다"며 "이는 우리 전통문화에 대한 재발견과 자신감을 심어주었다"고 말했다.

한 이사장은 이어 "품격있는 한식으로 국제적 위상을 올리기 위해서는 훌륭한 식문화가 담겨진 메뉴를 만들어 무형의 유산이 되도록 해야한다"며 "의궤, 궁중연회도 등 훌륭한 기록문화유산을 통해 한국의 최고 문화를 통합적 브랜드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고문헌이나 민화에서 가치 있는 문화적 자료를 더 발굴해 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을 새롭게 하며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왕릉 등 유적 활용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전통문화, 산업의 날개를 달다'를 주제로 발표한 유동환 안동대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교수는 "전통문화는 제품이 아니라 문화가치를 파는 4차산업"이라며 육성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유 교수는 의류·식품·공예·건축 등을 포함한 국내 전통문화산업 규모는 전통의류 5조1187억원, 전통식품 9조6390억원, 전통공예 2조6천881억원, 전통건축이 7조6618억원 등 총 25조1077억원으로 전체 산업대비 약 10%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통문화산업 규모가 미약한 원인으로 전승자 부재, 상품 디자인 기획 및 마케팅력 부족, 가내 수공업 수준의 기업환경, 협소한 내수시장, 온라인 시장 미정착, 단기행사성 정책 지원 및 부처별 사업 분산 등을 언급했다.

유 교수는 "전통문화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대량생산, 표준화, 문화가치 중심의 차별화 전략 등이 필요하다"며 "특정계층 의존형 시장 구조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의 숨은 욕구를 찾아 상품화하는 시장선도형 산업으로 변화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전통문화촌 지정·육성, 전통문화산업단지 진흥, 소재와 문양 등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상품화 지원, 전통문화산업 공동브랜드 개발, 관광과 연계한 전통의례 및 생활체험 프로그램 보급 등 산업융합형 사업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 머니투데이 기사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