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탈은 예로부터 궁중의례, 마을신앙, 놀이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됐으며, 탈춤은 날카로운 풍자와 민중들의 해학을 담은 무형문화유산의 하나로 인식돼 왔다.
이번에 발간된 『Tal and Talchum(탈과 탈춤)』에는 하회별신굿탈놀이 등 12개의 탈춤이 수록돼 있다. 특히 '탈', '탈춤', '꾼'의 주제별로 쉬운 해설과 풍부한 사진자료가 제공돼 한국의 탈문화를 외국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우리말인 '탈(Tal)'과 '탈춤(Talchum)' 을 제목에 사용해 우리 무형문화유산의 고유한 이름을 세계적으로 브랜드화 하고자 했다.
한편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영문도서 시리즈 두 번째 작품인 『Tal and Talchum(탈과 탈춤)』은 해외 한국문화원 등 국외 여러 기관에 배포되며,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 ( www.nrich.go.kr ) 를 통해 서비스될 예정이다.
[독서신문 = 윤빛나기자] --> 원문기사 보기
'국악관련뉴스 > 국악한류, 퓨전국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영어방송, #국악 세계화 위한 특집 다큐 제작 (0) | 2011.11.24 |
---|---|
미얀마 등 19인 문화동반자들, "아리랑은 이제 내 노래" #국악 (0) | 2011.11.20 |
춘향전 스토리 전통 뮤지컬 ‘미소’,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0) | 2011.11.19 |
일본에서 넓히자 한국 국악의 고리 - 한국국악일본보급협회 설립 피로연 (0) | 2011.11.18 |
'전통문화 한류' 로드맵 만든다 (0) | 2011.11.12 |
윙크, 트로트+국악 신곡 '아따 고것 참' 발표 (0) | 2011.11.12 |
日서 풀어헤친 국악 한 판, 통역도 설명도 필요 없었다 (0) | 201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