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금·거문고·아쟁·대금·해금·피리·태평소·장구…. 17개의 악기가 빚어내는 절묘한 화음이 흐르는 무대에 무용부 홍린이·박은지 단원이 꽃을 들고 나타났다. 화려한 한국무용의 춤사위가 경쾌한 선율과 어우러지면서 흥을 돋웠다. 국악과 춤으로 경사스러운 날의 분위기를 한층 살려주는 ‘축연무’다.
바로 옆 창악연습실에서는 조금은 생소한 노랫소리가 새나왔다. 창악부 유민희씨의 시원하고 힘찬 목소리였다. “당신 날 속였어. 언제인지 알거야. 그때 결심했어. 이제 끝이라고. 나는 언제나 정신 차릴까. 왜 그랬지. 그때 너무 화가 나서….”
뮤지컬 <맘마미아>를 판소리 톤으로 새로 구성한 국악가요였다.
전남도립국악단 단원 67명은 이틀 후 무대에 올릴 작품을 한창 다듬고 있었다. 모두 연신 구슬땀을 닦아내면서도 표정은 밝았다.
전남도립국악단은 2006년 2월부터 매주 토요일 오후 5시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에서 ‘토요공연’을 열고 있다. 그동안 단 한번도 쉬지 않았다.
--> 경향신문 해당뉴스 더 자세히 보기
'국악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민속국악원 토요판소리여행 '나도 귀 명창'이 4월14일부터 시작~ 국악 (0) | 2012.04.12 |
---|---|
'서편제' 이후 20여년만에 국악소재 영화 관심, '두레소리' 5월10일 개봉 (0) | 2012.04.03 |
박준영 국악방송 사장 “케이팝 속에 국악 있어요” (0) | 2012.03.21 |
#국악 현실에 대해 목소리를 높인 이동복 국립국악원장 (0) | 2012.03.09 |
소녀시대의 다이내믹한 군무의 뿌리는 옛 전통가무에 있다. (0) | 2012.03.02 |
국악방송, 3월1일부터 3일까지 오후6시 - 올밴과 남상일의 '수상한 국악메뉴얼' (0) | 2012.02.27 |
#국악 - 예술 경계 사라져도 뿌리는 한국 정서 (0) | 201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