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숙선 프로필
국악인 안숙선(64)은 어릴 때 별명이 ‘남원의 아기 명창’이다. 아홉 살 때 가야금 명인이자 이모인 강순영에게 가야금을 배웠다. 그 뒤에 이모의 손을 잡고 명인 주광덕에게 찾아가 판소리 기초와 단가, 토막소리를 배웠다. 안숙선이 스스로를 단련하는 방법은 가야금을 퉁길 때는 ‘손끝에서 피가 나도록’, 판소리를 할 때는 ‘목이 찢어지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안숙선은 국악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특히 외가가 ‘국악의 명가’다. 안숙선에게 처음 가야금을 가르친 분이 가야금 명인이자 이모인 강순영이다. 어린이 안숙선의 무릎에 처음 가야금을 놓아주었던 이모는 조카의 손가락에게 피가 날 지경인데도 “너 아프겠다”고 동정하는 말 한마디 없이 묵묵히 가르쳐 주기만 했다.
안숙선의 외가 쪽에 대금 산조 예능보유자였던 강백천은 어머니의 사촌이다. 동편제 판소리의 거목 강도근은 외삼촌이다. 1986년 안숙선이 적벽가를 완창 했을 때 호탕한 남자 소리를 훌륭하게 소화할 수 있었던 것은 외삼촌의 가르침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안숙선은 열아홉 살 때 남원에서 서울로 올라와 당대 최고의 명창 김소희 문하에서 소리를 배웠다. 또 당대의 일인자 박귀희에게 가야금 병창을 배웠다. 1997년 마흔아홉 나이에 안숙선은 스승의 뒤를 이어 중요무형문화재 23호 가야금 병창 기능보유자가 됐다. 두 스승은 안숙선을 딸처럼 아꼈다.
만해대상은 만해 한용운(1879~1944)의 생명,평화,겨레사랑 정신을 기리고자 제정된 상으로 시상식은 오는 8월 열린다.
▶ 관련기사 더보기
'국악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영희 명창 "쓰리랑 부부 출연이 국악 대중화 큰 몫 했죠" (0) | 2013.03.15 |
---|---|
국립창극단 '민은경'7년 기다려 늦깎이 입단…"될 때까지 두드렸죠" (0) | 2013.03.11 |
정수년 교수 해금사랑 37년…"폭넓은 음색에 빠졌죠" (0) | 2013.03.08 |
왕기석명창, 정읍시립국악단장 위촉 (0) | 2013.03.04 |
국악 듀오 '숨' [su:m] - "가끔 드는 회의, 용기로 해소" (0) | 2013.02.27 |
그룹 여랑 ‘2013 한국을 빛낸 사람들’ 퓨전국악 부문 수상 (0) | 2013.02.25 |
<경기민요와 함께한 이춘희의 소리인생> KBS '한국 한국인' 2월 23일 방송 (0) | 201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