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연정보
47년 인생에서 꽹과리가 36년을 차지했다.
국악계에서는 ‘꽹과리 일인자’라 불리지만 신명나게 놀 판은 많지가 않다. 그의 이름은 사람들에게 낯설지만 유명한 장면 속에는 그가 있었다. 1995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창설 50주년 축하 음악회. 정명훈 지휘로 KBS교향악단과 협연하는 김덕수 사물놀이패에서 그가 꽹과리를 잡았다.
쇠재비(풍물놀이에서 꽹과리나 징을 맡아 치는 사람) 김복만(47). 그가 26일 오후 7시 반 서울 필동 남산국악당에서 자신의 이름을 걸고 생애 첫 발표회를 연다. 3만 원. 02-2261-0515. 제목은 ‘김복만 스테이지 1’이라고 붙였다. 앞으로 숫자가 계속 늘어나길 바라면서.
“이 꽹과리로 목숨 한번 걸어 보겠습니다.”
김복만이 고교 2학년 때 아버지에게 한 말이다. 정승이 몇이나 나왔다는 안동 김 씨 종갓집 3남 1녀 중 장남의 폭탄선언이었다. 그는 초등학교 2학년 때 상모돌리기부터 시작해 4학년 때 처음 꽹과리를 잡았다. 신탄진 중앙중과 유성농고(현 유성생명과학고)에 농악부 장학생으로 진학했지만 부모는 그저 취미라고만 여겼다.
고2 때 대전 가톨릭문화회관에서 열린 김덕수 사물놀이패 공연은 그에게 큰 충격이었다. 꽹과리 징 장구 북의 울림이 놀이에 그치지 않고 음악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격했다. ‘나도 저런 음악을 해봐야겠다!’ 집안은 난리가 났지만 마음 깊이 쇠말뚝이 박혔다.
▶ 관련기사 더보기
'국악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땅 뒤흔들던 심수봉 조부 국악예인 '심정순' 가문을 아시나요 (0) | 2013.08.13 |
---|---|
만해대상 수상자 안숙선 명창 "춘향가에 기립박수 보낸 스웨덴 관객..판소리 힘 느껴" (0) | 2013.08.12 |
염경애 명창, 판소리부 최고상 '독도국창상' 영예 (1) | 2013.08.12 |
제14회 박동진판소리 명창부 대상에 현미 씨 (0) | 2013.07.22 |
한국무용가 장인숙-춤 인생 45년 이야기를 춤으로 집대성하다 (0) | 2013.07.18 |
영송당(永松堂) 조순자 명인 - 전통가곡 천년의 맥 잇는 불굴의 藝人 (0) | 2013.07.15 |
‘서암전통문화대상’ 소리꾼 윤진철 (0) | 201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