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청만 프로필
"테레비에 안 나오니 알간디?"
중요무형문화재 된 걸 축하하자 고수(鼓手)김청만(67)이 시큰둥해했다. "공연 끝나도 죄다 소리꾼한테 몰려가고 북 치느라 수고했다는 사람은 없으니 얼른 짐 싸서 돌아와 혼자 소주잔을 기울이지요."
말은 그렇게 해도 후보자 된 뒤 22년 만의 경사라 김청만 얼굴에 화색이 돌았다. 안숙선, 오정숙, 박동진, 이매방 등 명창·명무들이 사랑했던 남자다. "장단 없는 음악 없잖아요? 제아무리 명창이어도 고수가 제 역할 못하면 흥이 빠져요. 박동진 선생한테 장단 하나 딱딱 못 맞춘다고 '이 씨버글놈아' 욕먹은 고수들이 얼마나 많았게요." '1고수 2명창'이란 말은 그래서 나왔다.
김청만에겐 팬클럽이 있다. 호가 '일통(一通)'이라 '일통고우회'다. "한학자 송정희 선생이 지어주셨어요. 당대에 북을 제일 잘 치는 사람 되라고. '한방에 통하는 소리'란 뜻이니, 전화국에서 그 호 좀 팔면 안 되겠냐고 엄청 못살게 굽디다(웃음)."
▶ 관련기사 더보기
'국악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보이와 국악 팝핀현준·박애리 부부 "불후의 명곡은 둘이라서 보여줄 수 있는 무대" (0) | 2013.04.17 |
---|---|
국악계 젊은 피 김보연, “스스로 만족하면 그 예술은 끝난다” (0) | 2013.04.16 |
이수진씨 고령우륵가야금경연 대상 차지 (0) | 2013.04.15 |
초적(草笛) 연주자 정재영-나뭇잎과 입술로 만드는 세상의 모든 음악 (0) | 2013.04.09 |
한량춤 대가 김진홍 선생"늘 그렇듯 연습하고 무대에 서는 춤꾼 인생 살고 있죠" (0) | 2013.04.05 |
송순섭 명창 “판소리 대통령상 복원 정통성 이을 것” (0) | 2013.04.02 |
여성 국악 듀오 ‘숨(su:m)' 중국 월드뮤직페스티벌 'SOTX’에 초청받아 (0) | 201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