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인 이야기

(148)
불교 음악 '범패'전문가 동주 스님~ 기생들이 스님에게 소리 배우러 왔다가 그만... 한 글자 10분씩 불러 … 배우러 온 기생들 30분 만에 포기 동주 스님의 범패 소리를 듣고 있으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깊은 명상에서 우러나오는 불교음악 범패의 매력이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산사의 새벽을 깨우는 고즈넉한 염불소리. 선승(禪僧) 특유의 쉰듯한 저음이 단정한 목탁 소리와 함께 아련하게 울려 퍼지면 어느덧 시공간은 세간(世間)의 경계를 훌쩍 뛰어넘는다. 제행무상(諸行無常).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으며 '나'조차도 실체가 없다는 불가의 가르침을 전하는 음악. 범패(梵唄)다. 이런 범패의 매력에 빠져 평생을 바친 스님이 있다. 서울의 서쪽 끝 가양동의 주택가 한복판에 자리잡은 도심포교당, 홍원사(弘願寺)의 회주(會主·사찰의 최고 어른)를 맡고 있는 동주(東洲·66) 스님이다. 범패는 다..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 '이생강 국악교실’ 홈피 열어 #국악 --> 이생강 명인 홈페이지 중요무형문화재 45호 이생강(75·사진) 명인이 전통 관악기 동영상 강좌 홈페이지 ‘이생강 국악교실’ ( www.leesaengkang.co.kr )을 8일 개설했다. 이 명인은 대금뿐 아니라 피리·단소·소금 등 대부분의 관악기 연주에 능하다. ‘이생강 국악교실’에는 전통 관악기인 단소와 대금을 비롯해 피리, 소금, 퉁소, 태평소 동영상 강좌가 등록돼 누구나 쉽게 악기 다루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이 명인은 “남은 인생의 시간이 얼마일지 몰라 촉박한 심정으로 준비한 것들을 세상에 내놓을 수 있어 다행이다. 우리의 역사 안에서 자라온 아름다운 음악 유산이 지켜지고 우리 후세들이 전통 관악기를 제대로 배워 계승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중앙일보 기사 원문보기
영남교방청춤 박경랑 - 광주MBC '신얼씨구학당’ 출연 동영상보기 #국악 자료 출처 : 광주 MBC 아래를 클릭하시면 광주MBC로 이동되구요... 목록 중.. [2007년 12월 16일] 에서 [동영상]을 클릭하면 별도 회원 가입 없이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서 보기
한국국악협회 이사장에 홍성덕씨 선출 #국악 --> 국악협회 홈페이지 바로가기 홍성덕(67) 한국여성국극예술협회 전 이사장이 한국국악협회 이사장으로 뽑혔다. 1월30일 서울 한국의집에서 열린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 이사장 선거에서 새 이사장으로 선출됐다. 지난 50여년간 국내외에서 150회에 가까운 무대를 펼친 홍 신임 이사장은 전주대사습놀이보존회 이사장 등을 지냈다. 1993년 한국국악협회 국악대상, 1996년 문화의날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홍 이사장은 "국악인에 의한 국악협회 운영"을 강조하면서 "국악인의 일자리 창출과 공연기회 확대, 국악의 현대화와 세계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홍 이사장은 1960년 이래 강도근 홍정택 오정숙 등의 국악인을 사사했다.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기사 원문보기
박경랑 영남교방청춤 동영상 [고궁명무전] --> 다음TV팟에서 보기
한국 신무용의 대표적인 인물 - 최승희와 조택원 피카소가 후원한 최승희 보석 휘감은 '보살춤' 인기…美·유럽 공연 500회 넘어 해방 후 월북…말년에 숙청 개인 발표회 먼저 한 조택원 피아노 반주로 승무 창작춤…최승희 제자와 같이 공연도 韓-日 문화외교에 큰 역할 일러스트=조영남 기자 jopen@hankyung.com 한국 신무용은 일제 식민지 강점기에 태어났다. 춤으로 사상을 표현할 수 있다고 깨달은 지식층 젊은이들이 서양식 테크닉에 조선의 문화를 접목해 신무용이라 했다. 가장 암울한 시대에 태어난 한국춤인 만큼 신무용은 억압받는 조선인들에게 즐거움은 물론 긍지를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조선의 춤은 조선인뿐만 아니라 국경을 넘어 일본과 중국 관객들에게, 세계 2차대전의 포연 속에서 이 춤을 본 바다 건너 서구 관객들에게도 황홀함과 감동을 선사했다. ◆..
군산의 마지막 권번 출신 기생(妓生) 김난주 할머니 "기생질 허고 싶어 시집서 두 번 도망쳤지" [인터뷰] 군산의 마지막 권번 출신 기생(妓生) 김난주 할머니 ▲ 동네 회갑연에 초대되어 헌수를 도와주는 김난주(좌) 45세 때 모습. 윤기 흐르는 머리가 시선을 끈다.(1971년) 칼바람이 볼을 때리던 지난 2011년 12월 15일. 군산의 마지막 권번(가무를 가르쳐 기생을 양성하는 곳) 출신 기생(妓生) 김난주(85) 할머니를 찾았다. 60년 가까이 이웃으로 살아온 김 할머니 댁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한 사람이 겨우 지나다닐 수 있는 골목 끝 집이었다. 좁고 짧았지만, 6~7가구가 오무래 오무래 살던 골목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모두 떠나고 김 할머니네 한 집만 남아 고요가 흐르는 골목을 지키고 있었다. 금방 갈아놓은 먹물처럼 번들번들하던 기와지붕이 세월의 풍..
권오춘 국어고전문화원 이사장의 양평 한옥 초은당 다섯 번 옻칠한 대청… 그 위에서 사뿐사뿐 선비춤 드디어 초은당에 간다. 여러 자리에서 여러 입으로 분분하게 소문이 나부꼈던 집이다. 옻칠을 아홉 차례나 하면서 돈을 종이처럼 처발랐다느니, 한강 이남의 경복궁이라느니, 부석사 무량수전의 살림집 버전이라느니! 과격하고 선정적인 소문들이었다. 금강송을 켜 옻칠한 대문 앞에 서니 얼굴에 잔뜩 웃음을 문 주인이 고무신 발로 뛰어나온다. 신만 고무신이 아니다. 명주 누비 바지저고리에 역시 솜 두고 누빈 조끼를 입었다. 지난해 파주 헤이리의 한 축제에서 그가 추는 선비춤을 구경한 적 있다. 한옥에 한복 입고 살면서 선비춤을 추는 사람. 신명 많고, 입담 좋고, 생각 굳은 이 집 주인 권오춘(61) 국어고전문화원 이사장이다. 그는 지금 전통문화의 르네상스를 위해 앞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