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인 이야기

정년퇴임 맞은 '시국춤' 이애주 교수




"우리 춤의 진면목은 나를 자유롭게 하는 것… 세계 만방에 알리고 싶어"

올해로 춤 인생 60년:
71년 국립무용단 24개국 순방.."서양춤 흉내" 평가에 충격 받아 우리 춤 정통 살리려 무용계도 떠나

87년 시국춤 '바람맞이춤': 박종철 고문치사 등 춤으로 표현… 그 후 입으로만 일하는 이들에 실망 10년간 승무에 매진, 인간문화재로

퇴임 후의 계획은: 싸이·김연아·손연재가 주는 감동 우리 춤의 역동성과 닿아 있기 때문 춤대학 만들어 제대로 가르치고파


이애주(65) 서울대 체육교육학과 교수가 정년을 맞았다. 87년 민주화 운동의 현장마다 불을 붙였던 춤꾼. 서울대 교수이면서 맨발로 마당춤을 마다 않았던 민주화 운동의 상징. 그러나 88년을 끝으로 한동안 그는 현장 춤에서 멀어졌다. 그 대신 중요무형문화재 27호인 한성준-한영숙류 승무를 익혀 99년에는 인간문화재가 됐다. 그 후에는 우리 춤의 뿌리를 찾아 고조선 강역과 바이칼호수 주변을 다니고 홍역(한학자 야산 이달이 주역을 개혁한 역서)을 공부하고 천부경을 외며 동방문화진흥회에서 전통사상에 빠져 들었다. 좌에서 우로 급선회하면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싸웠던 과거와 결별하는 것일까. 아니었다. 그는 본질로 들어가서 인간의 몸이 가장 자연스런 상태로 해방감을 주는 우리 춤 자체를 널리 알리고자 했다. 그가 거부한 것은 사람보다 목적이 우선인 운동과 그의 춤이 수단만 되던 상황이었던 모양이다.


_갑자기 활동이 많아졌네요.

"지난 목요일에는 정년퇴임을 기념해서 서울대학교 문화관 중강당에서 특강과 공연을 했고요, 12일 저녁은 중요무형문화재전수회관에서 승무 발표회가 있어요. 13일에는 오전 10시부터 조계사 옆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에서 저의 춤세계를 학술적으로 풀어보는 학예굿을 해요. 이이화 선생 채희완 유홍준 교수등이 발제하고 김명곤 전 장관이 축사를 해요. 마지막에는 제가 직접 춤을 추면서 이야기도 하고요. 18일 홍성에서 한성준 선생을 기리는 승무를 춥니다. 그 동안도 꾸준히 춤을 췄는데 요즘은 기획사가 안 끼면 공연장 얻기도 힘들고 신문에 기사도 안 나서 그렇지요."

_올해로 춤 인생 60년이라고요?

"엄마가 경기고녀를 나왔는데 어렸을 때 천도교 수운회관 자리에서 방정환 선생님한테 노래하고 유희를 배웠대요. 피아노 바이올린도 할 줄 알고. 다섯째인 내가 다섯살 때부터 동네 어른들이 민요를 부르면 춤을 곧잘 추니까 초등학교에 들어가자 창덕궁 옆의 국립국악원엘 데려갔어요."

_전통춤을 추면 공부는 제쳐놓는데 어떻게 서울대까지 갔어요?

"어머니가 국악원에 손잡고 다닐 때도 구구단을 외우게 했어요. 초등학교 4학년 때인가 성적이 떨어지니까 엄마가 문을 잠그고 춤추러도 못 가게 했어요. 창덕여중 창덕여고 나왔는데 고등학교 때는 지도 교사가 무용 전공이 아니라서 내가 무용부 지도까지 하면서 공부는 다 했어요."

_승무를 전수한 한영숙(1920~1990) 선생과의 인연은 언제 생긴 거예요?

"서울대 가려면 상장이 필요하대서 고 3때 무용협회 주최 콩쿠르에 나갔는데 장구춤을, 춤만 춘 게 아니고 본격적인 가락을 넣어서 설장구를 막 두드려부수면서 춤을 딱 추니까 만장일치로 특상(최우수상)이야. 대학에 가서 4학년 때인가(1968년) 문화공보부 주최 신인예술상에 나가서 특상을 받았어요. 그때 심사위원이 한영숙 선생님이야. 1970년에 인간문화재 되자마자 나를 불러서 '전수자 이수자 있어야 되니 네가 와서 배워' 하시더라고요."

_민중 춤을 추지 말라는 게 그분이었다는 말도 있던데 어떤 분이셨어요?

"선생님 앞에 가면 내가 한없이 작아지고 모자란 걸 느끼고 한번이라도 더 춰야지 배워야지 그런 생각만 드는 거야. 이러구 저러구 얘기한 게 아니라. 전통춤이라고 하면 기생춤, 보여주는 나른한 춤을 추는데 선생님 춤은 아주 기상이 있어요. 이매방 선생님의 춤도 참 좋아해요. 아주 예술적이지. 인격도 멋지고. '나는 기방에서 자랐고 그래서 기생춤을 춘다' 그렇게 말씀을 하시잖아요. 그런데 우리춤에는 고조선부터 내려오는 말 달리고 활 잘 쏘는 고구려의 역사가 담긴 그런 활달한 춤도 있거든요. (한영숙의 할아버지로 전통 춤을 집대성한) 한성준(1874~1941)이 살린 춤에는 그런 게 있어요. 그게 내 마당춤으로 이어지는 거지."

이애주 프로필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