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 종로의 카페에서 만난 유 씨는 “꿈만 같다”면서 해맑게 웃다가도 지난해 12월 31일 지병으로 작고한 아버지 유준열 씨를 떠올릴 때마다 목이 잠겼다. 소리꾼이었던 아버지는 사물놀이와 판소리에 반응하는 어린 아들을 소리의 길로 이끌었다. 여섯 살 때 3시간 동안 판소리 ‘흥부가’를 완창해 ‘국악 신동’으로 이름을 떨친 그는 “이제 본격적인 소리꾼의 길로 가는 초입에 들어선 것 같다”고 했다.
“생전에 아버지는 ‘태평양, 너는 꼭 동아국악콩쿠르에서 1등 해야 한다’고 누누이 말씀하셨어요. 스승인 조통달 선생님께 수상 소식을 전하는 전화를 드렸더니 사모님께서 우시더라고요. ‘너희 아빠가 참 좋아하시겠다’ 그러시면서요.”
갑작스레 세상을 떠난 고인은 경연 내내 그의 곁에 있었다. 콩쿠르의 지정곡이었던 ‘춘향가’ 중 사위 잘되라고 비는 대목은 고인이 특히 좋아했다. “아버지 생각에 울컥해서 목이 가더라”라는 그의 목소리가 잦아들었다.
고인은 아들이 판소리에만 갇히기를 바라지 않았다. 태평양 씨가 어렸을 때 방문한 인도에서 전통 타악기에 관심을 보이는 것을 지나치지 않았다. 고인의 권유로 태평양 씨는 초등학교 6학년 때 아프리카 타악을 배우기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어머니와 남동생도 함께였다.
“당뇨를 앓고 있던 아버지가 4년간 기러기 생활을 하면서 건강이 더 악화됐던 것 같아요. 합병증으로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면서도 남아공의 가족에게는 알리지 말라고 하셨대요. 뒤늦게 소식을 접한 어머니가 당장 짐 싸서 귀국하겠다고 하자 아버지가 노발대발하시면서 ‘그러라고 남아공 보낸 것 아니다. 회복되면 내가 가겠다’고 하셨어요. 강인한 분이셨죠.”
고인은 2000년 태평양 씨를 길러낸 경험을 담은 ‘소리하는 아이 장단치는 아빠’라는 교육서를 펴내기도 했다. 태평양 씨의 동생인 휘찬 군(16·전통예술고 2년)도 판소리를 배우고 있다.
--> 돋아일보 해당뉴스 더 보기
'국악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성 출신 지아름, 판소리 춘향가의 “초경이경” 대목을 완벽하게 소화해 KBS국악대경연 대상 (0) | 2012.07.19 |
---|---|
[공옥진 별세] 파란만장한 일생을 산 예인 공옥진 (0) | 2012.07.09 |
국립국악원, 국악아카이브 국악자료 7만5천여 점 온라인 서비스 실시 (0) | 2012.07.09 |
국악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폐막…판소리 명창부 장원 (대통령상)에 강경아씨 (0) | 2012.06.12 |
국악 전주대사습 신설 '창작국악경연' 첫 우승 '소릿결' (0) | 2012.06.11 |
제38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대회요강 및 참가신청서 (0) | 2012.05.26 |
제10회 전국국악경연대회 안내 (5월21일까지 접수) (0) | 201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