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무형문화재 제18호 동래야류 명예보유자인 고인은 1967년 동래야류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될 당시 예능보유자로 인정받은 1세대 전승자다. 동래학춤과 동래한량춤 등이 시지정 무형문화재로 인정되고 이를 복원하는 데 구심점이 된, 고인의 삶 그 자체가 부산 춤의 역사였다.
향년 95세…학춤·한량춤 복원에 구심점
'소리는 전라도, 춤은 경상도, 그중에서도 제일은 동래'란 말은 바로 고인을 두고 한 말이었다. 1990년대 초 뇌경색으로 쓰러진 뒤 지팡이를 짚고 다녔지만, 춤판에 오르면 언제 앓았느냐는 듯이 춤으로 좌중을 압도했다. 슬쩍 팔 하나만 들어 올렸을 뿐인데 백 근의 무게감이 전달됐고, 가볍게 한 발 내디뎠을 뿐인데도 춤이 됐다. 마음 가는대로 추는 허튼춤인 문장원류 동래한량춤이다. '노름마치'를 쓴 진옥섭은 고인의 춤을 '구순의 텅 비운 몸으로 여백과 만나는 한 폭의 세한도'라고 했다.
고려 말 목화씨를 가져온 문익점의 26대손인 고인은 동래고보 시험에 두 번이나 연거푸 낙방하면서 춤과 풍류 인생을 시작했다. 동갑내기인 천석꾼 사돈과 이른 나이에 기방을 드나들며 춤을 배웠다.
--> 부산일보 해당기사 더 보기
'국악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병기는 누구… 중학교 3학년때 가야금에 빠져 (0) | 2012.10.22 |
---|---|
제19회 '방일영 국악상' 성우향 명창을 만나다 (0) | 2012.10.18 |
판소리 현대화 함께한지 8년...소리꾼 이자람-연출가 남인우 (0) | 2012.10.18 |
시조창 외길 인생 50년…전북 무형문화재 14호 김영희씨 인터뷰 (0) | 2012.05.25 |
불교 음악 '범패'전문가 동주 스님~ 기생들이 스님에게 소리 배우러 왔다가 그만... (0) | 2012.02.10 |
한국 신무용의 대표적인 인물 - 최승희와 조택원 (0) | 2012.01.15 |
군산의 마지막 권번 출신 기생(妓生) 김난주 할머니 (0) | 201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