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종민의 국악세상/국악칼럼

영원한 자유인 최우칠



최우칠은 텔레비전에 자주 나온다. 그러나 그를 알아보는 사람은 많지 않다. 늘 주연이 아니라 조연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누가 소리를 하면 옆에서 장구나 북 치는 것이 최우칠이고 기악산조를 할 때에도 역시 옆에서 장구를 친다. 얼굴을 정면으로 화면에 비치는 일은 거의 없다. 늘 옆모습만 비친다.

그가 텔레비전에 나오기 시작한 것은 30년 전쯤 되니까 오랫동안 그렇게 방송을 타고 있는 것이다. 지금은 KBS.TV의 국악한마당 프로에 주로 나오지만 과거에는 송해가 진행하는 전국노래자랑에서도 국악반주를 담당했었다. 그는 그런 활동을 하면서 전국 방방곡곡 안 가본데 없을 정도로 많은 곳을 다녔고 별별 재미있는 사람들을 수도 없이 만나봤다. 그런 일을 꼭 무슨 일이라고 생각하여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재미있고 즐거우니까 계속 그런 일을 생활로 알고 살아왔다. 수입이나 돈에 대한 생각도 고정된 것이 없다. 열심히 활동하면 얼마간의 돈이 생기고 생기는 돈은 감사히 생각하고 쓴다. 분수에 넘게 막 쓰지도 않지만 짠돌이처럼 먹을 것 안 먹고 쓸 것 안 쓰는 그런 타입은 아니다. 술을 좋아해 거의 매일 술을 마시지만 어울리는 사람들과 즐겁게 담소하며 술을 마신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 누구와 술을 마셔도 재미있게 이야기를 하며 술을 마시고 아무리 술을 많이 마셔도 술주정을 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최우칠은 1952년생이다. 군산에서 꽤 넉넉히 사는 집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아버지가 국악을 좋아해서 국악원에 놀러 가실 때는 늘 우칠을 데리고 다녔다. 아버지는 군산국악원 명예회장을 할 정도로 국악인들과 가까이 지냈고 무슨 행사라도 있게 되면 집에서는 국악인들이 함께 하는 잔치가 벌어지기 일쑤였다. 당시 서울에서 임춘앵이나 박보아씨 같은 국악인들이 여성국극단을 데리고 군산에 오면 우칠의 집에서 한 판 벌이는 때도 많았는데 그럴 때면 우칠의 아버지는 북을 치기도 하고 단가를 하기도 하며 놀았다. 그런 분위기에 그런 경험을 많이 하며 어린 시절을 보낸 최우칠도 그의 아버지처럼 북치고 단가하고 하는 것이 아주 자연스럽게 몸에 배게 되었다. 그런데 언제인가 그의 아버지는 무슨 생각을 했는지 우칠을 초등학교 5학년 때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보냈다. 그래서 어머니와 함께 사는 서울생활이 시작되었다. 우칠의 어머니 역시 국악을 좋아해서 유명한 고수였던 김득수와 오빠 동생 하는 의남매를 맺어 친하게 지냈다.

우칠은 미동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용산중·고를 다녔는데 어머니가 군산으로 내려가게 되면 김득수선생 집에서 밥 먹고 다녔다. 김득수의 아들 은도와 늘 어울려 놀고 함께 자기도 하니까 자연 학교에 대한 관심보다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게 되었다. 그래서 당시 국악예술학교에 다니는 김덕수·김무경·이철주·김영재 등과 어울리게 되고 연상되는 서용석 등과도 술을 마시며 국악 전공자들과 함께하는 생활을 했다. 그런 모습을 본 김득수선생이 어차피 국악을 좋아하니까 제대로 국악을 배워봐라 하여 김득수선생에게 판소리를 배우고 북도 배우며 국악공부를 본격적으로 해 나갔다. 그런 생활을 하면서 국악에 푹 빠져 있었던 최우칠도 나이가 차서 군대에 가게 됐다. 군 생활에서는 운전병 노릇을 했는데 그 운전하는 기술이 제대 후 국악인들과 더 가까운 관계를 맺도록 해 주었다. 제대한 다음 조상현명창의 차를 운전하며 같이 다니게 되었다. 조상현이 MBC의 내 강산 우리노래에 주역으로 출연할 때 조연으로 출연하기도 하고 일이 없을 때에는 조상현명창에게 소리를 배우기도 했다. 또 오갑순이 방송활동과 공연활동을 활발히 할 때에도 한 동안 오갑순의 차를 운전했다. 운전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연할 때는 장구도 처 주니까 자연히 일행이 되어 국악인으로 살아가는 생활이 되었던 것이다.

최우칠은 지금 국악계에서 누구보다 바쁘게 많은 일을 하며 살아가지만 그 생활이 그냥 물 흐르듯 그렇게 만들어졌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무엇을 위해 무엇을 준비하고 하는 일도 별로 없다. 본인이 국악을 좋아하고 국악인들을 좋아하니까 국악인 모두에게 좋은 일이 무엇일까 그런 생각을 하면서 일을 꾸미게 된다. 그래서 만든 것이 국악노조다. 우리 사회 각 분야에 노조가 많이 만들어지는 ‘90년대 최우칠은 국악인들에게도 노조가 필요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술 마시는 자리에서 국악노조에 대해 얘기하면 호응하는 사람도 꽤 있었다. 그래서 노조를 만들었지만 각자 자유롭게 활동하는 국악인들이라 무슨 회비를 받을 수도 없고 하여 최우칠은 그냥 본인이 노조위원장이 되고 회비도 본인이 납부하면서 한국노총산하 국악노조를 만들고 위원장으로 행세하게 되었다.

그리고 국악방송이 계속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졌던 프로도 없어지는 경우가 있어 방송국이 국악프로를 없애지 말아달라는 궐기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종묘의 팔각정에서 궐기대회를 했는데 이성림·조상현·김영임·김뻑국·이은관 등을 비롯한 많은 국악인들이 모여 머리에 謹弔라는 띠를 두르고 한 나절동안 방송국을 성토하는 대회를 했었다. 그는 지금 국악노조위원장 외에 (사)한국국악협회 이사로 있으면서 국악협회의 각종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악제나 서울 국악제를 하면 으레 연출을 맡아하고 국악경연대회 등을 해도 역시 전체 진행을 맡아 중요한 일을 한다. 더러 지방자치단체에서 무슨 큰 국악공연을 할 때에도 초청하면 가서 연주도 하고 전체 연출도 하곤 한다. 최우칠은 오랜 세월 KBS.TV의 국악프로를 하면서 PD인 이상업·최공섭을 도와 많은 일을 했는데 그러면서 확실하게 배운 것이 연출하는 일이다. 워낙 많은 사례를 반복하여 경험했고 또 직접 해볼 기회도 많았기 때문에 지금은 국악공연연출을 하는데 무서움이 거의 없을 정도가 되었다.

최우칠은 국악노조위원장으로 (사)한국국악협회 이사로 국악계를 위해 활동하지만 주된 일은 KBS민속합주단 단장으로서의 역할이다. 매주 수요일이면 KBS 국악한마당을 녹화하는데 각양각색의 국악프로그램에 반주를 담당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프로그램의 책임자가 바뀌면 프로의 경향도 달라지니까 거기에 적응하여 완성도가 높은 내용이 되게 하자면 역시 반주단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래서 녹화하는 일이나 공연하는 일은 늘 스릴을 느끼게 되고 그런 것이 최우칠에게는 무척 재미있는 일이 된다. 녹화나 공연 마치면 서로 어울려 한 잔 마시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고 그럴 때 재담으로 사람들을 웃기는 일도 재미있는 일이다. 최우칠은 지금 국악계 전체로 볼 때도 재담(와이당)을 제일 잘 하는 사람이다. 그러니 그는 국악이 좋아서 국악을 하고 국악인들이 좋아 서로 어울리고 많은 사람들이 웃는 것이 좋아 재담을 하며 산다. 그래서 그런지 그는 가는 곳마다 환영받고 서로 만나면 술 마시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365일 술을 마시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술의 종류가 소주에서 막걸리로 바뀌었다. 막걸리를 마시면서 달라진 것은 체중인데 깡말랐던 체구가 좀 볼륨이 생길정도가 되었다. 나이도 있고 하니 그런 체격이 더 중후해 보여 좋다는 생각도 든다. 본인이 좋아서 하는 국악이지만 그것이 국악계를 위해 좋은 일이면 더 좋은 것이니까 최우칠 파이팅을 외쳐주고 싶다

최종민 (철학박사, 국립극장예술진흥회 회장,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