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들 중에는 자기가 하고 싶었던 예능을 어린 자녀에게 가르치는 경우가 더러 있다. 피아노를 가르치기도 하고 춤을 가르치기도 한다. 그렇다고 그 자녀들이 다 그 방면의 예술가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아주 드물게 그런 조기교육이 성과를 거두어 예술가의 길을 가게 되는 경우가 있다. 내가 오늘 소개하려는 이순희명창도 따지고 보면 어머니의 조기교육이 큰 결실을 맺은 경우이다.
이순희의 어머니는 박일심(1923~2003)이라는 예명으로 널리 알려진 양영숙이다. 어린 시절 초등학교 학생이었던 양영숙은 소리가 배우고 싶어 어머니에게 5원 30전을 빌려 조선권번을 찾아갔다고 한다. 조선권번의 소리선생 최정식이 “너 이름이 뭐냐?”하고 물었을 때 다급한 마음에 당시 유명한 소리꾼이었던 고일심이 생각나 “박일심입니다.”하고 대답한 것이 그냥 이름으로 굳어져 박일심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박일심은 조선권번에서 3년 동안 시조, 경기잡가, 서도잡가, 잡잡가 등을 배웠는데 배정자, 조금선, 심연홍, 이세화, 김옥경 등과 함께 공부했다고 한다. 19세에 결혼하게 되어 잠시 소리를 못하고 있다가 다시 최정식의 소개로 이창배를 찾아가 이진홍은 ‘대감놀이’로 유명해졌고 이비봉은 잡가로 이름을 떨치고 있으니 자신도 무언가 특징 있는 것을 만들어야겠다고 상의하니까 이창배선생이 직접 정리한 ‘장타령’사설을 주면서 ‘장타령’을 복원해 보라고 하였다. 그래서 그 때부터 박일심은 장타령을 연구하고 연습하며 장타령에 매달리게 되었다.
박일심이 부르는 장타령의 가짓수는 10여 종에 이르고 본인이 직접 짜서 만든 장타령도 대여섯 수는 된다. 그 중에는 그녀가 인천에서 활동하던 성음 좋은 거지에게 배운 장타령도 있다. 그렇게 박일심은 장타령으로 서울에서 이름을 날렸지만 1960년대 인천으로 이사해 살면서 서울활동은 뜸해지고 인천에서 주로 활동하게 되었다. 그녀의 장타령을 듣기 위해 이은관이나 백운선이 공연할 때 박일심을 초청하여 무대에 세우는 일도 있었다. 박일심은 전태용과 함께 공연활동을 한 적도 있고 창부타령을 녹음하여 함께 음반을 내기도 했다. 특히 창부타령을 잘 불러서 장타령을 할 때에도 중간 중간에 창부타령을 멋들어지게 부르곤 했다고 한다.
그런 박일심을 어머니로 하여 태어난 이순희(1956년생)는 우리나이 다섯 살 되던 1960년 어머니의 손을 잡고 조백운선생에게 소리를 배우러 갔다. 조백운선생이 돌아가시자 인천에서 학원을 하던 최창남에게 가서 배우고(1967년) 최창남이 서울로 올라가자 이영열에게 배우기 시작했는데(1971년) 학생의 신분이었지만 이영열의 제1회 제자가 되었다.
이영열은 인천에 국악협회를 만들고 여러 가지 활동을 했기 때문에 이순희 역시 고등학생이면서도 각종 공연무대에 섰고 인성여자고등학교를 졸업(1975년)한 다음에는 사)한국국악협회 인천지부의 이사가 되어(1976년) 인천국악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그러던 이순희도 어머니가 그랬던 것처럼 결혼 후 한 동안 국악활동을 하지 못하는 시기가 온다. 맏이로 태어난 그녀가 7남매의 맏아들에게 시집을 갔는데 시부모님과 친정어머님이 계속 병환이어서 양쪽 부모님들을 돌보느라 활동을 할 수 없었다. 한 동안 집안일에 매달려 애 낳고 부모님 공경하고 그렇게 꽤 여러 해를 보내고 나서 다시 국악계로 나와 활동하기 시작했다.
오래간 만에 이영열학원에 찾아가니 거기서 공부하는 학생들이 처음 온 사람인 줄 알고 맨 뒷자리에 앉으라고 했다. 그것을 본 이영열이“저 분은 너희들 선생님 뻘 되는 대선배이시다.”하니까 그 다음부터는 잘 대해 주었다. 이영열은 이창배 정득만 등이 가르치던 청구고전학원 출신으로 일찍이 인천에 학원을 내고 경기소리를 가르쳤기 때문에 인천 출신의 국악인들 다수가 그의 제자라 할 수 있다. 또 17년간 인천국악협회의 지회장을 했고 수봉공원에 국악회관이 지어지게 할 정도로 많은 일을 했기 때문에 인천국악발전에 상당한 기여를 한 사람이다.
다시 국악계로 돌아와 활동하기 시작한 이순희는 그런 이영열을 도와 민요분과위원장으로 또 부지회장으로 활동했다. 2005년 이영열이 지병 등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천국악협회의 일을 하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에 보궐선거를 통해 이순희가 인천국악협회 지회장으로 선출된다. 다행히 이순희는 일찍부터 국악을 해서 국악계에서 서열이 높고 선배대접을 받으니까 인천국악협회가 어려울 때 지회장으로 뽑힌 것이다.
그래서 2005년 이래 인천국악협회는 이순희 체제로 운영되고 이순희를 중심으로 많은 사업을 추진해 가고 있다. 내가 본 이순희는 마음이 너른 사람 배포가 큰 사람이다.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이고 무슨 일이든지 마음먹은 일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사람이다. 겉보기로는 체구가 작아 훨씬 어려보이고 예쁘게 생겨서 약해 보이지만 말하는 품이나 일하는 것을 보면 훨씬 큰 사람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복잡하기 짝이 없는 인천국악계를 잘 장악하고 산적한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며 새로운 일들을 잘 추진하고 있다.
이순희는 인천국악협회의 일을 열심히 하면서 본인의 예술을 위해서도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거의 매일 개인 연습을 하고 부녀자들을 위한 민요교실을 운영한다. 또 어린이나 중·고등학생들 개인지도도 여러 명 하고 있다. 인천에서 이순희에게 배운 다음 서울의 국악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이나 대학의 국악과에 진학한 학생이 여러 명 있다. 저들은 서울의 학교에 다니지만 개인지도는 계속 이순희에게 받으면서 각종행사에도 출연하여 스승과 함께 하는 경우가 많다.
그 동안 이순희는 2000년에 제7회 전국 경·서도민요경창대회에서 명창부 대상을 수상했고 개인발표회도 2006년과 2008년 두 차례 아주 성대하게 했다. 발표회의 프로그램에는 언제나 어머니 박일심에 대한 얘기를 싣고 발표회의 제목도 ‘장타령과 경기민요 발표회’로 할 정도로 이순희는 어머니의 소리맥을 이어가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 장타령은 어머니 살아생전에 직접 배웠지만 다 배우지 못했다는 생각이 늘 있어서 계속 연구하고 녹음을 들으며 공부하고 있다.
그리고 경기민요는 어려서부터 긴잡가, 휘모리잡가, 산타령, 민요 등 다 배우긴 했지만 중간에 집안 일에 열중하느라 쉰 적이 있기 때문에 잊어버린 대목들이 많아 1987년 김금숙을 찾아가 다시 닦기 시작했다. 그래서 지금도 김금숙을 스승으로 모시고 활동하며 각종 무대에 함께 서기도 한다. 지난 두 번의 발표회 때도 김금숙은 제자인 이순희와 함께 경기민요를 불렀었다. 어찌 보면 이순희는 여러 선생님에게 배웠지만 그 선생님들을 다 잘 모시려 애쓰고 있다. 이영열에게 한 것이나 김금숙에게 하는 것이나 다 그런 태도를 엿 볼 수 있다. 이순희는 어머니에게는 효녀요 시부모에게는 효부다. 또 스승님들을 잘 모시는 훌륭한 제자이다. 그렇게 은혜 입은 사람들에게 잘 하면서 제자들을 사랑하고 엄격하게 가르치면서 공적인 일을 분별 있게 처리하니까 그의 영(令)이 서고 위신이 서는 것이다.
그녀가 이끄는 인천국악협회는 15억원의 예산이 들어가는 국악강사풀제를 시행하는데 좋은 성과를 내어야하고, 국악상설무대나 찾아가는 문화활동도 잘 해야 하고 국악대제전도 잘 치러야 한다.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어서 이순희는 유능한 후배들과 함께 매일 출근하여 일을 처리하고 있다. 또 부족한 부분은 국악계의 권위자들에게 자문을 받아 해결해 나가고 있다. 이순희가 바라는 것은 본인이 예술가로 성공하는 것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 못지않게 인천국악협회의 구성원들이 한층 업그레이드되어 인천국악이 활성화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부디 그런 그녀의 꿈이 실현되어 이순희는 훌륭한 명창이 되고 인천국악협회 회원들은 훨씬 업그레이드되고 인천국악협회의 사업들은 크게 성공하기 바란다.
최종민 (철학박사, 국립극장예술진흥회 회장,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최종민의 국악세상 > 국악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음악의 정체성을 찾아야 (0) | 2012.06.29 |
---|---|
아쟁산조를 창시하고 안중근전을 작곡한 고법의 인간문화재 정철호 (0) | 2012.06.18 |
중국음악과 한국음악의 본질적 차이 (0) | 2012.06.13 |
한국인들의 놀라운 음악재주 (1) | 2012.06.07 |
대금산조의 인간문화재 이생강의 삶과 꿈 (0) | 2012.06.01 |
재주와 끼가 넘치는 윤진철 명창 (0) | 2012.05.26 |
영원한 자유인 최우칠 (0) | 201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