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악인 이야기/김덕수

‘사물놀이 명인’ 김덕수



부천무형문화엑스포 홍보대사로 창조적 미래 발견 디딤돌 역할 다짐

‘사물놀이’하면 반사적으로 떠오르는 이름이 있다.

‘김덕수’. 최근 기획재정부로부터 국제 행사 승인을 받아 다음 달 28일 열리는 지구촌 첫 무형문화축제 ‘2010 부천무형문화엑스포’에 세계인들의 관심이 모아지면서 홍보대사인 사물놀이 명인 김덕수 교수(한국예술종합학교)에게 다시금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그는 깊은 겨울잠에 빠져 있던 한국 전통음악계를 깨운 봄바람에 비유된다. 1978년 ‘김덕수 사물놀이패’를 창단해 사물놀이를 대중화시킨 것은 물론 전 세계에 널리 알린 주역이기 때문이다. 이제 사물놀이는 모르는 외국인들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한국의 대표 음악’으로 자리 잡았다.

‘김덕수’표 사물놀이가 세계화에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지난 17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김 교수를 만나 들어봤다.

사물놀이의 경쟁력을 묻자 그가 먼저 제시한 것은 ‘온고창신((溫故創新)’이란 단어였다. ‘옛 것을 익혀 새로운 것을 안다’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을 뛰어넘어 창조성을 투영한 ‘살아 있는’ 전통을 계승해야 한다는 뜻에서 김 교수가 만든 말이다.

“전통은 지키는 것만이 다가 아닙니다. 본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운 해석과 재창조 과정을 거치는 ‘퓨전’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외국인들에게 더 쉽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어요.”

김 교수가 사물놀이에 재즈, 클래식, 힙합 등 다양한 분야와 결합시킨 크로스오버 공연을 자주 펼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여기에는 시대정신이 꼭 반영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 대중의 취향도 바뀐다는 것. 가장 한국적인 장단의 조화가 만들어내는 ‘신명’ 나는 공연, 전통과 현대를 접목한 새로운 시도는 그의 이러한 소신을 통해 빛을 발하며 세계가 열광하는 브랜드 ‘김덕수 사물놀이’를 만들어냈다.

그 결과 김덕수 사물놀이는 영역을 막론하고 전통음악을 새로운 상품으로 창출해내는 모델이 되고 있다.

사물놀이 리듬을 소재로 주방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코믹하게 드라마로 엮어낸 ‘난타’는 해외에서 인기몰이를 하며 제작사 PMC프로덕션에게 지난 13년 간 1000억 원에 달하는 수익을 가져다 줬다.

올 초, 이어령 전 문화부장관은 디지털 첨단기술과 아날로그적인 사물놀이를 접목해 ‘4D 홀로그램 사물놀이’라는 독특한 예술을 선보여 국내외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얼마 전에는 스마트폰으로도 즐길 수 있는 모바일 사물놀이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돼 화제가 됐다.

김 교수는 전통음악뿐만 아니라 경쟁력 있는 한국 브랜드 육성과 전통상품 개발에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기업인들이 우리 정체성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전제 조건을 달았다. 그래야 우리 DNA가 담긴 진정한 한류 열풍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

그는 인터뷰를 마치면서 “이번 부천무형문화엑스포가 단지 옛것의 체험이 아니라 그 속에서 창조적인 미래를 발견할 수 있는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열심히 뛰겠다”고 힘줘 말했다.

이코노믹리뷰 2010년 08월 24일 전희진 기자 --> 기사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