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전통예술

우리지역 문화재 진주교방굿거리춤 (경남도민신문)





경남 무형문화재 제21호
정·중·동의 신비로운 매력

진주교방굿거리춤은 진주 교방에 의해 전승되고 있는 굿거리춤으로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다.
교방이란 기녀(妓女)들의 악·가·무(樂·歌·舞)를 가르치던 기관을 가리키며 무속금지령에 의해 무당이 교방으로 들어가면서 시작된 춤이기에 교방굿거리춤이라 일컫게 되었다.

교방굿거리춤은 굿거리장단인 자진타령가락으로 시작하여 염불가락에서는 타령가락보다 자진가락이 많이 들어간다. 차분하면서 끈끈하고, 섬세하면서 애절한 느낌을 준다.
진주교방굿거리춤은 한국춤의 신비롭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잘 나타내고 있는 전통무용으로 진주에 사는 김수악씨와 보존회에서 그 맥을 이어가고 있다.

진주교방굿거리춤은 1900년대 이후 승무와 더불어 예기들에 의해 교방에서 예술적으로 다듬어졌으며, 고종 황제시 궁중무희였던 최완자씨가 1940년대부터 전통무용으로서 지도하셨고, 당대 명기들로 하여금 판소리와 함께 연출하였으며 춤사위의 이름도 음악의 창법이나 가락의 호칭과 혼합하여 쓰게 되었다.
춤의 성격은 차분하면서 끈끈하여 섬세하면서 애절한 무태로서 정·중·동의 신비롭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어 무아지경에 이르게 하는 매력을 갖추고 있다.

이 춤은 조선조의 하락으로 관기제도가 금지됨으로써 궁중예기들이 기녀조합을 결성하게 되었고 그곳에서 가·무·악으로 그들의 생업을 삼게 되었다.
한편 무축의 금지령에 의해 무당이 사찰과 관기로 분화되면서 무무가 기방으로 이입된 것이 발단이 되었다. 교방에서는 이 춤사위를 교방굿거리춤으로 까지 승화시켜 오늘에 이른 것이다.

김봉철 기자 --> 기사 원문보기

진주교방굿거리춤 [ 晉州敎坊─ ]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추어지던 춤. 다른 말로 기방굿거리·굿거리춤·수건춤·입춤으로 불리어진다. 이 춤은 주로 3분박 4박자에 맞추어 추는 춤으로 고려 문종때 들어와 고려, 조선조를 통하여 1900년대 이후 승무와 더불어 여기들에 의해 교방에서 예술적으로 다듬어져 왔다.

궁중의 각종 연회에서 중요한 레파토리로 가장 많이 상연되어져 왔으며 90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전승되어져 오고 있는 문화재적인 놀이춤의 하나이다.

춤의 발단은 조선조의 몰락으로 관기제도가 폐지됨으로써 궁중 여기들이 기녀조합을 결성하여 그곳에서 가(歌)·무(舞)·악(樂)으로 그들의 생업을 이어가는 한편 무속의 금기령에 의해 무당이 사찰과 관기로 분화되면서 일부 무무(巫舞)가 기방으로 이입된 것이 발단의 시초이다.

이 춤의 보유자인 김수악(金壽岳)은 1930년대 전통무용으로 승화시킨 한성준과 1940년대 이 춤을 지도했던 고종시 궁중무희였던 최완자 그밖에도 김옥민·김녹주 등에 의해 사사받아 전승보존되어져 오고 있다.

이 춤은 당대 명기들로 하여금 판소리와 함께 진행·연출하였으며 춤사위의 이름도 대삼·소삼·잉어걸이·완자걸이 등 음악의 창법이나 가락의 호칭과 혼합하여 쓰고 있다.

이 굿거리춤은 한국춤의 네가지 요소인 한·흥·멋·태를 고루 갖추어 보여주는 춤으로 정립되어져 춤의 성격은 차분하면서 끈끈하여 섬세하면서 애절한 무대로서 정·중·동의 신비롭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어 무아지경으로 이르게 하는 매력을 갖추고 있다. 1997년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었다.

자료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전통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남교방청춤  (0) 2012.06.05
고성오광대 (固城五廣大)  (0) 2012.02.06
남해안별신굿  (0) 2012.02.02
사물놀이  (0) 2011.11.23
밀양백중놀이  (0) 2011.09.07
전주대사습놀이  (0) 2011.08.13
판소리란?  (0) 2011.07.25